부산 오륙도 스카이워크&신선대 ◀ 부산 오륙도 스카이 워크 ▶ 오륙도 스카이 워크는 오륙도와 이기대가 결합된 부산의 해안 관광지에 해안 경관 조망이 결합된 관광 상품으로, 2012년 건립 계획을 수립하고 조성에 들어가 2013년 10월 18일 준공식을 하고 개장하였다. 이기대에서 바다로 9m가량 뻗어나갔다가 돌아오는 U.. ▣....여행,등산 이야기/...부산광역시 2016.06.15
부산 황령산 ◀ 부산 황령산 ▶ 부산광역시 남구·수영구·연제구·부산진구에 걸친 시의 중심에 있으며 금련산맥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이다. 산 정상부는 남미대륙의 안데스산맥의 화산에서 많이 발견되는 안데사이트(andesite), 즉 안산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 이름은 《동국여지승람》에 누를 '.. ▣....여행,등산 이야기/...부산광역시 2016.06.12
밀양 삼봉사&선우사&부도공원 ◀ 밀양 삼봉사&선우사&부도공원 ▶ ◀삼봉사▶ 주소: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단장로 379... 밀양 삼량진에 조그만한 절로서 세계경제 위기에 국내 경기 침체 등 기업들에게는 안팎으로 시련의 시기에 대덕밸리 한 벤처기업 CEO가 10여일간 산사에 묻혀 살다 돌아와 눈길을 끌고 있는절. 주인.. ▣....여행,등산 이야기/...경상 남도 2016.06.10
밀양 만어사 ◀ 밀양 만어사 ▶ 주소 : 도로명 : 밀양시 삼랑진읍 만어로 776 지번 : 밀양시 삼랑진읍 용전리 산 4 만어사는 만어산 해발 674m 위치한 절로서 용왕님의 아들과 수많은 물고기들의 이야기 이며 전설에 의하면, 46년(수로왕 5)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신라시대에는 왕이 불공을 드리는 장소로.. ▣....여행,등산 이야기/...경상 남도 2016.06.08
삼량진 여여정사 ◀ 삼량진 여여정사 ▶ 주소: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행곡1길 180-158 이곳은 삼량진역에서 약 15분~20분 거리로 잘 다듬어진 태안호 외각도로를 따라 오르면 외부에서 보는것과 다른 동굴속의 웅장함을 느낄수 있습니다. 밀양 여여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77호.로 원.. ▣....여행,등산 이야기/...경상 남도 2016.06.07
밀양 예림서원& 밀양읍성 ◀ 밀양 예림 서원 ▶ 이 서원은 조선 성종 때 거유 문충공 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지덕과 효제충신에 대한 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마련한 서원이다. 명종 22년(1567)에 부사 이도우가 창건하여 마을 이름을 따서 처음에는 덕성서원이라 하였다. 그후 인조 때에 운례로 이건하였고 숙종 6년(168.. ▣....여행,등산 이야기/...경상 남도 2016.06.03
해운대 모래 축제 ◀ 해운대모래축제 2016 제12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2016.05.27(금) ~ 2016.05.30(월) 세계 유일 모래를 소재로 한 친환경 테마 축제 '해운대 모래축제'로 부산을 대표하는 축제로 자리 잡았다. 해운대모래축제는 전문가들의 모래조각품들은 물론 솜씨를 뽐내는 시민 모래작품대회, 빛의 향.. ▣....여행,등산 이야기/...부산광역시 2016.06.01
밀양 영남루&무봉사&박시춘선생 생가 ◀ 밀양 영남루 ▶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147호로 지정되었다. 정면 5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이다. 조선시대의 밀양군 객사(客舍)였던 밀양관(密陽館)의 부속건물로서 밀양 강가의 절벽 위에 위치한다. 건물 기둥이 높고 사이를 넓게 잡아 웅대하다. 좌우의 부속건물들과는 층계로 된 월랑(.. ▣....여행,등산 이야기/...경상 남도 2016.05.26
밀양 천경사 ◀ 밀양 천경사 ▶ 주소 : 경남 밀양시 용두동안길 32-30 천경사(주지 수원 스님)는 3월7일 ‘왕호영화예술학교’ 개교식을 가졌다. 이 학교는 초등학생부터 일반인까지 무술, 액션 연기 등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특수교육 기관이다. 1970년대 홍콩으로 건너가 액션 연기를 선보였던 영화.. ▣....여행,등산 이야기/...경상 남도 2016.05.21
밀양 용궁사 ◀ 밀양 용궁사 ▶ 주소 - 밀양시 가곡동 692(용두로 31-8) 종목 - 경상남도 전통사찰(제113호) 분류 - 불교, 종교 사찰, 문화. 예술 소개 - 대한불교조계종 용궁사절 용궁사는 혼란한 조선말기에 민간의 신앙적 희구(希求)에 대한 방편으로 급격하게 불교가 토착신들을 수용했다. 이중에 용왕.. ▣....여행,등산 이야기/...경상 남도 2016.05.21